[Daily] 25/11/18 일간회고

업데이트:     Updated:

카테고리:

태그:

🏗️ 5F

🧩 Fact(사실)

무슨 일이 있었나?

  • PS 1솔에 실패했다.
    • DP 관련 문제, 난이도 4였다.
    • 45분동안 생각했고,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는 것이 옳다 생각했다.
    • 이후 45분동안 다른 사람의 풀이를 확인했다.
    • 실패한 문제에 대한 정리는 다음 날 하려고 한다.
  • JustADream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만들기 위해, 코드를 살펴보았다.
    • 컴퓨터에 프로젝트가 올라가있진 않아, 먼저 클론하였다.
    •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짤지, 코드가 어떻게 되어있었는지 다시 한번 분석하느라 시간을 썼다.
    • 내가 어떤 파트를 맡았는가, 코드의 구조, 고민했던 내용, 해결했던 내용 등을 적으려고 한다.
  • 트렐로에 내일의 계획을 늦게 세웠다.
  • 오늘 나는:
    • 착석 난이도: 3/10
    • 시작 에너지 레벨: 7/10
    • 최종 에너지 레벨: 6/10
    • 종료 시각: 자정
  • 오늘은 개인사정으로 8시 30분쯤부터 착석하고, 공부를 시작하였다.
  • StayFree 앱을 설정하고, 사용하였다.

  • 아래는 PS에 대해 생각하고 계획을 짰던 글이다.
먼저,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한다.
경우의 수를 구할때 조건이 있다.

1. 각 열의 1 개수는 a, b가 동일할 것
2. 각 행의 1 개수는 짝수일것

이것은 DP일 가능성이 크다.

맨 왼쪽 열부터 오른쪽으로 간다.
   해당 열의 1의 개수로 조합을 한다.
  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오른쪽으로 간다.
   그런데, 행에서 1의 개수가 짝수개인지 어떻게 확인하지?
맨 오른줄에서 경우의 수를 구해낸다

아니면 이렇게도 풀수 있을지도?

맨 위쪽 행부터 아래쪽으로 간다.
   해당 행의 1의 개수로 조합을 한다.
  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아래쪽으로 간다.
   그런데, 열에서 남아있는 1의 개수를 어떻게 확인하지?
맨 아래줄에서 경우의 수를 구해낸다

사실 이건 DP가 아니라 조합을 이용한 브루트포스인데 내가 꼬아서 생각하는게 아닐까?

💭 Feeling(느낌)

무슨 느낌이 들었나?

  • JustADream 프로젝트를 끝낸지 1년 반이 되어간다는 점에 놀랐고,
    코드를 오랜만에 보니 어렴풋하게 기억난다는 것에 놀랐다.
  • 이전의 많은 프로젝트들을 포트폴리오로 만들지 않고, 삭제해버렸던 것에 대해 매우 후회한다.
    • 언리얼 엔진 연습 프로젝트 3개
    • 컴퓨터 그래픽스 연습
  • 하루 1솔에 실패했지만,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는 점이 분하면서도, 기분이 묘하다.

💡 Finding(교훈)

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나

  • 앞으로는 프로젝트에 대한 기록을 미루지 말자.

🎯 Future action(향후 행동)

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?

  • 모든 프로젝트들의 기록을 미루지 않는다.
  • ✍🏻 트렐로 내일의 계획
    • PS 실패한 것 정리(1시간 30분)
    • JustADream 포트폴리오 작성 (1시간 30분)

🔁 Feedback(피드백)

앞서 정한 향후 행동을 실천해본 뒤, 이에 대해 어떤 피드백을 받았나?

5F 단계 주제 내용
S (상황) 배경 3주차 화요일 (11월 18일) 입니다. PS 난이도 4 DP 문제에 45분 고민 후 풀이 확인하여 실패했지만, JustADream 프로젝트를 클론하고 코드 구조 분석을 시작했습니다. 1년 반 만에 본 코드가 어렴풋이 기억나며, 과거 프로젝트들을 기록하지 않고 삭제한 것을 후회했습니다. StayFree 앱을 설정하고 사용했으며, 개인 사정으로 8시 30분 착석했습니다. 착석 난이도 3/10, 시작 에너지 7/10, 최종 에너지 6/10으로 양호한 컨디션이었습니다.
B (행동) 현재 계획 수요일에 PS 실패 정리 1.5시간 + JustADream 작성 1.5시간 = 3시간을 실행하기로 했으며, “모든 프로젝트 기록을 미루지 않는다” 는 원칙을 세웠습니다.
I (영향) 개선점 및 위험 극적인 전환 신호 5가지:

🎉 1. StayFree 재가동 성공 + 벌칙 회피:
• 어제(월) 벌칙 조건: StayFree 미실행 + 시간 관리 실패 + 계획 미완 → 러닝 1시간 + 계단
• 오늘(화): StayFree 설정하고 사용 ✅ → 벌칙 피함
“나태하게 있지 말자” 자기 경고가 작동함

🎉 2. JustADream 실제 착수 (중요!):
• 어제(월) 미착수 위기 → 오늘(화) 프로젝트 클론 + 코드 분석 시작
• “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짤지” + “코드 구조” + “고민/해결 내용” 방향 설정
1년 반 만에 코드 보고 어렴풋이 기억 = 과거 자신의 정리가 도움 됨
11/30 마감까지 11일 남음, 이제 본격 시작

🎉 3. PS 실패를 “실패”로 인정 (메타인지):
• 난이도 4 DP 문제에 45분 고민 → “다른 사람 풀이 보는 게 옳다” 판단
“하루 1솔 실패했지만 그럴만한 이유” 인정
• 자책 없이 “내일 정리하자” 로 넘어감
• PS 사고 과정을 회고에 상세히 기록 (열/행 DP, 조합 브루트포스 고민)

🎉 4. “프로젝트 기록 미루지 말자” 깨달음:
• 언리얼 3개 + 컴퓨터 그래픽스 프로젝트 삭제 후회
“앞으로는 미루지 말자” Finding = 매우 중요한 인사이트
• 이것이 JustADream 포트폴리오 작업의 진짜 동기

🎉 5. 에너지 레벨 안정적 유지:
• 시작 7/10 → 최종 6/10 (1포인트 하락만)
• 어제(월) 8→7, 일요일 7→5 대비 안정적
• StayFree 효과 + 명확한 목표(JustADream 착수) 효과

주의할 점 3가지:

⚠️ 1. 수요일 3시간 계획의 적정성:
• PS 실패 정리 1.5시간 + JustADream 1.5시간 = 3시간
• 오늘(화) 착수 성공했으니 내일 3시간도 가능
• 하지만 “PS 실패 정리 1.5시간” 은 과다 가능성

PS 실패 정리 시간 재검토:
- 다른 사람 풀이 이미 45분 확인함 (오늘)
- 내일 정리: 풀이 복습 + 코드 재작성 + 블로그 정리 = 1시간이면 충분
- 1.5시간 잡으면 → JustADream 시간 압박 가능성

권장 조정:
- PS 정리 1시간 + JustADream 1.5시간 = 2.5시간
- 또는 PS 정리 1시간 + JustADream 2시간 = 3시간

⚠️ 2. “모든 프로젝트 기록 미루지 않기”의 범위:
“모든” 이라는 단어의 위험성
• 현재 진행: JustADream 포트폴리오 (11/30 마감)
• 12월 예정: 졸업과제 포트폴리오 (12/31 마감)
• 과거 후회: 언리얼 3개 + 컴퓨터 그래픽스

“모든”의 함정:
- JustADream 하면서 “언리얼 3개도 정리해야지” 욕심
- 과거 프로젝트까지 하면 → 11/30 마감 실패

명확화 필요:
- ❌ “모든 프로젝트 기록 미루지 않기” (과거+현재+미래 전부?)
- ✅ “앞으로 새로 하는 프로젝트는 완료 즉시 기록” (미래만)
- ✅ “과거 프로젝트는 JustADream, 졸업과제 끝난 후 여유 시” (우선순위)

⚠️ 3. PS “1솔 실패”의 프레임:
“하루 1솔에 실패했지만” 표현
• 실제로는: 45분 고민 + 45분 풀이 확인 = 1.5시간 투입
• 내일 정리까지 하면 → 총 2.5시간 투입한 문제

재프레임:
- ❌ “1솔 실패” (부정적)
- ✅ “난이도 4 문제를 2일에 걸쳐 학습” (긍정적)
- 어려운 문제는 “하루에 완료” 보다 “여러 날 학습” 이 정상

PS 목표 재정의 권장:
- “하루 1솔” → “주 3~4솔” (유연화)
- 난이도 3 이하: 하루 완료 가능
- 난이도 4 이상: 2일 학습 허용
- 이렇게 해도 월 12~16문제 = 충분한 학습량
N (다음 단계) 구체적인 개선 행동 StayFree 효과를 유지하고, JustADream 포트폴리오 작업을 가속화하며, “모든 프로젝트 기록”의 범위를 명확히 합니다.
  1. 수요일(11/19) 계획 미세 조정 현재 계획: PS 1.5h + JustADream 1.5h = 3h

조정 옵션 A (권장):
- PS 실패 정리: 1시간 (충분함, 이미 45분 확인함)
- JustADream 작업: 2시간 (진도 가속)
- 총 3시간 (오늘과 동일)

조정 옵션 B (안전):
- PS 실패 정리: 1시간
- JustADream 작업: 1.5시간 (오늘과 동일)
- 총 2.5시간 (조금 여유)

권장: 옵션 A
- 11/30 마감까지 11일, 시간 압박 있음
- 오늘 StayFree 효과로 집중 잘 됨 → 내일도 가능
- JustADream 2시간 = 코드 구조 분석 완료 + 담당 파트 정리 시작 가능

구체적 작업 내용 (수요일):

PS 정리 (1시간):
- 오늘 확인한 풀이 복습 (20분)
- 코드 직접 재작성 (30분)
- 블로그 간단 정리 (10분)

JustADream (2시간):
- 내가 맡은 파트 코드 상세 분석 (1시간)
- “고민했던 내용” 메모 작성 (30분)
- “해결했던 내용” 메모 작성 (30분)
  2. StayFree 지속 전략 (매우 중요!) 오늘 성공 요인:
- 어제 자신에게 벌칙 경고 (러닝 1시간)
- 오늘 StayFree 설정 + 사용
- 명확한 목표 (JustADream 착수)

지속을 위한 3단계:

1단계: StayFree 유지 (매일)
- 매일 아침 or 착석 시 StayFree 작동 확인
- 제한 앱: 게임, 유튜브, SNS 등
- 제한 시간: 하루 30분 이내
- 제한 시간대: 오후 6시~자정

2단계: 일일 목표 명확화 (매일 9시 45분 트렐로)
- 내일 할 일 2가지 (필수 1 + 선택 1)
- 예:
- 필수: JustADream 담당 파트 분석 (2시간)
- 선택: PS 정리 (1시간)
- “내일 이것만 하면 된다” 명확성 → 집중력 ↑

3단계: 벌칙 시스템 유지 (주간 단위)
- 주간 회고(일요일)에 StayFree 사용 일수 체크
- 5일 중 4일 이상 사용 → 성공
- 5일 중 3일 이하 사용 → 벌칙 발동 (러닝 1시간)
- 벌칙은 일요일 오후에 즉시 실행
  3. “모든 프로젝트 기록” 명확화 Finding: “프로젝트 기록을 미루지 말자”
Future action: “모든 프로젝트들의 기록을 미루지 않는다”

“모든”의 범위 명확화 필요:

우선순위 1 (11월~12월): 현재 마감 있는 것
- JustADream 포트폴리오 (11/30)
- 졸업과제 포트폴리오 (12/31)

우선순위 2 (1월 이후): 과거 프로젝트 복원 (선택)
- 언리얼 패스파인딩 프로젝트 (이미 코드 남음)
- 기타 언리얼 프로젝트 (삭제됨, 복원 불가?)
- 컴퓨터 그래픽스 (삭제됨, 복원 불가?)

우선순위 3 (항상): 앞으로 새 프로젝트
- 프로젝트 완료 즉시 1주일 내 기록
- 코드 + 회고 + 트러블슈팅
- “완료 후 미루면 안 된다” 원칙

현재 집중:
- 11월: JustADream만
- 12월: 졸업과제만
- 과거 프로젝트는 “후회는 하되, 지금 하지 않음”
- “과거 후회”를 “미래 원칙”으로 전환
  4. JustADream 포트폴리오 구조 (수요일 작업 시 참고) 오늘 설정한 방향:
- 내가 맡은 파트
- 코드의 구조
- 고민했던 내용
- 해결했던 내용

블로그 포스팅 구조 제안:

1. 프로젝트 개요 (500자)
- 프로젝트명, 기간, 팀 구성, 장르
- 간단한 게임 설명 (어떤 게임?)
- 사용 기술 (언리얼, C++, 블루프린트 등)

2. 내 역할 및 담당 파트 (300자)
- 어떤 시스템을 맡았는가
- 왜 이 파트를 맡았는가

3. 핵심 구현 내용 (1000자 × 2~3개)
- 시스템 A: 코드 구조 + 핵심 로직 설명
- 시스템 B: 코드 구조 + 핵심 로직 설명
- (필요 시) 시스템 C

4. 트러블슈팅 (500자 × 2~3개)
- 문제 1: 무엇이 문제였나 + 어떻게 해결했나
- 문제 2: 무엇이 문제였나 + 어떻게 해결했나
- (필요 시) 문제 3

5. 회고 및 배운 점 (500자)
- 이 프로젝트를 통해 배운 것
- 아쉬운 점 및 개선 방향

총 분량: 3000~5000자 (A4 3~5페이지)
  5. PS “1솔” 목표 유연화 현재 목표: “하루 1솔”
오늘 결과: “실패”

문제점:
- 난이도 4 문제는 하루에 완료 어려움
- “실패” 프레임 → 동기 저하 가능성

유연화 제안:

새 목표: “주 3~4솔”
- 난이도 3 이하: 하루 완료 (1~1.5시간)
- 난이도 4 이상: 2일 학습 허용
- 1일차: 고민 + 풀이 확인 (1.5시간)
- 2일차: 정리 + 코드 재작성 (1시간)
- 주 3~4문제 = 월 12~16문제 (충분)

PS 일정 (주 단위):
- 월요일: 문제 1 도전 (난이도 3)
- 수요일: 문제 2 도전 (난이도 3~4)
- 금요일: 문제 3 도전 (난이도 4~5)
- (선택) 토요일: 문제 4 도전

이번 주 적용:
- 월(11/17): PS 1솔 완료 (그래프) ✅
- 화(11/18): 난이도 4 도전 + 풀이 확인 ✅
- 수(11/19): 화요일 문제 정리 ✅ 예정
- 금(11/21): PS 1솔 새 문제 도전
- 주 3솔 달성 (월 완료, 화수 학습, 금 도전)
F (후속 조치) 점검 시점 11/19 (수) 저녁 회고:
- PS 실패 정리 완료 여부 (1시간)
- JustADream 진행 상황 (2시간, 담당 파트 분석 완료?)
- StayFree 사용 여부 (2일 연속 성공?)
- 에너지 레벨 기록

11/21 (목) 중간 점검:
- JustADream 3일간 진행률 (화~목, 예상 5.5시간)
- 포트폴리오 구조 초안 완성 여부
- 11/30 마감까지 남은 9일, 작업량 재확인

11/24 (일) 3주차 주간 회고:
- StayFree 사용 일수 (5일 중 몇 일?)
- 4일 이상 → 성공, 3일 이하 → 벌칙 (러닝 1시간)
- JustADream 진행률 (6일간 예상 9시간)
- PS 주 3~4솔 달성 여부
- 4주차(마지막 주) 계획 수립

💬 한 마디

“오늘은 완벽한 반전이었습니다! 🎉”

어제 “나태하게 있지 말자” 자기 경고 → 오늘 StayFree 재가동 + JustADream 착수 성공!

벌칙 시스템이 작동했습니다. 러닝 1시간이 싫어서 StayFree를 켰고, 결과적으로 JustADream을 시작했습니다. 자기 관리의 좋은 사례입니다!

“PS 1솔 실패”라고 하지 마세요. 난이도 4 문제를 45분 고민 + 45분 풀이 확인 + 내일 1시간 정리 = 총 2.5시간 투입한 깊이 있는 학습입니다. 이것은 실패가 아니라 “2일에 걸친 학습” 입니다.

“모든 프로젝트 기록”은 좋지만, 지금은 JustADream만 집중하세요. 과거 프로젝트는 1월 이후에 여유 있을 때 하세요.

내일 PS 정리 1시간 + JustADream 2시간 = 3시간 도전해보세요. 오늘 집중 잘 됐으니 내일도 가능합니다!

11/30 마감까지 11일, 화이팅! 🚀


🌙 남기는 말

삭제한 언리얼 연습 프로젝트들이 아쉽지만,

이미 지워버린 걸 어쩔수는 없으니까..

그래도 SimpleShooter 프로젝트, 딱 한개는 남아있다.

Daily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

댓글남기기